 
런닝의 인기와 이면
지난달 웹진에서는 런닝이 관절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간단히 살펴보았습니다. 이번에는 그 연장선에서, 런닝이 모두에게 무조건 좋은 운동은 아니라는 점에 주목해 보려 합니다. 특히 어떤 사람들은 런닝을 시작하기 전에 주의해야 하거나 아예 다른 운동을 먼저 선택하는 것이 더 적절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런닝을 하면 안 되는 사람들의 특징과 그 이유를 조금 더 구체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실제로 런닝 인구가 늘어나면서 정형외과나 재활의학과를 찾는 환자들이 증가하고 있다는 통계도 보고되고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본인의 건강 상태와 신체 조건에 맞는 운동 선택입니다.
런닝을 피해야 할 경우
                1. 체중이 많이 나가는 경우
				과체중 상태에서 바로 런닝을 시작하면 무릎 관절에 큰 부하가 걸려 관절염이나 연골 손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가 25 이상인 과체중이나 30 이상인 비만군에 해당하는 사람들은 체중 부하로 인해 런닝 시 무릎과 발목 관절에 가해지는 충격이 정상 체중자보다 훨씬 큽니다. 특히 체중이 1kg 증가할 때마다 보행 시 무릎에 약 3~4배의 하중이 가해진다는 연구 결과도 있어, 무리한 런닝은 관절 손상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먼저 자전거 타기나 수영과 같이 관절 부담이 적은 운동으로 체중을 조절하고, 하체 근육을 강화한 뒤 런닝을 시작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2. 발 아치가 너무 높거나 낮은 경우
				평발(저아치)이나 요족(고아치)을 가진 사람들은 보행 시 충격 흡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발, 무릎, 골반, 허리에 연쇄적으로 무리를 줄 수 있습니다. 요즘은 발 모양을 보완할 수 있는 족형별 맞춤 신발이나 깔창이 있으므로, 반드시 본인 발에 맞는 제품을 선택해야 부상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3. 특정 질환을 가진 경우
				런닝은 심폐 기능과 근골격계에 동시에 부담을 주는 운동이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질환이 있는 경우 반드시 주치의와 상의 후 진행해야 합니다. 
                •  심혈관계 질환: 협심증, 심근경색 이력, 고혈압 조절이 안 되는 경우
                •  관절 질환: 무릎 관절염, 고관절 질환, 디스크
                •  호흡기 질환: 중증 천식, 만성폐질환
                •  대사 질환: 당뇨병이 잘 조절되지 않는 경우
                이런 상황에서는 런닝보다는 걷기, 수영, 실내 자전거와 같은 저강도 운동이 권장됩니다.
            
결론
런닝은 분명 훌륭한 운동이지만, 모든 사람에게 무조건적으로 적합한 운동은 아닙니다. 본인의 체중, 발 모양, 기존 질환 등 개인의 건강 상태를 충분히 고려하지 않은 런닝은 오히려 더 큰 문제를 불러올 수 있습니다. 따라서 런닝을 시작하기 전, 자신의 몸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필요한 경우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