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기사
보기

피플인사이드
연결돼 있지만 관계돼 있지 않은 우리
<직지거리 270.6km>로 관계를 잇다
입체미술전공 김은비ㆍ정세연ㆍ권순한ㆍ박초록,
회화전공 이주헌 학생
 
 

1일 수집 시간 5.4시간, 1주 수집 일수 6일, 월수입 15만 9천 원. 평균 연령 76세인 자원재생활동가가 폐지를 주워 벌어들이는 수입이다. 우리 동네 거리를 깨끗하게 하는 환경 미화 역할과 종이 재활용률을 높이는 환경 보호 역할까지 맡고 있지만 노동환경과 처우는 열악하고 사회적 인식은 부족하다. 이들을 위해 지난 학기 국민대학교 예술대학 미술학부 학생 22명이 인식 개선을 촉구하는 특별한 전시회를 열었다. 우리 동네 환경지킴이를 바라보는 따뜻한 시선 22개가 모이기까지의 과정에 대해 들어봤다.

Q. 작년 12월에 미술학부 학생 22명이 국민대학교 경영관에서 특별한 전시회를 열었다고요.

김은비 국민대학교 경영관 5층 로비에서 12월 11일부터 22일까지 <직지거리 270.6km>라는 설치미술 전시회를 열었어요. 이 전시는 ‘설치미술과 전시기획(이상윤 강사)’ 수업의 일환으로 진행됐는데요. 폐지를 줍는 자원재생 활동가의 일자리와 소득을 지원하는 업사이클링 아트 기업 러블리페이퍼와 협업해 자원재생활동가의 사회적 역할을 재고하는 전시를 기획하고 연출하는 수업이었어요. 학생들이 직접 기획, 작품 제작, 홍보, 설치, 전시 등을 맡아 입체작품 20점, 평면작품 22점을 전시했어요.

▲ <78.6kg> 김은비, 가변설치, 박스, 2023

Q. 전시의 취지가 정말 훌륭한데요. 평상시에 자원재생활동가에 관한 관심을 두고 있었나요?

권순한 자원재생활동가를 길에서 자주 뵙지만, 그분들이 기여하는 환경적 가치에 대해서는 진지하게 바라보지 않았던 것 같아요. 뉴스에서는 ‘노인 빈곤’이라는 이슈에 비중을 두고 다루는데요. 이분들이 사회를 함께 살아가는 일원으로서 충분히 공감할 만한 일, 생산적인 일을 하고 계시다는 것을 인식한다면 노동 환경과 처우, 경제적 문제 등이 더 나아질 것이라고 생각했어요. 저희가 정책과 제도를 만들 순 없지만 예술이라는 도구로 이분들의 가치를 밝게 비출 수 있잖아요. 사람들이 관심을 갖고, 관점을 바꾸고, 관계를 맺으면 ‘사회적 동료’로 바라볼 수 있다고 보고 전시를 준비했어요.

▲ <0/3> 김윤하, 권순한, 차진혁, 가변설치, 혼합매체, 2채널비디오, 11분, 2023

Q. 22개의 전시기획안 가운데 박초록 학생이 제출한 기획안이 최종 선정되었다고요.
<직지거리 270.6km>가 의미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박초록 ‘직지(職紙)’는 이번 전시를 위해 만든 단어인데요. ‘종이와 관련하여 맡은 업무’ 또는 ‘종이 관련 직분’을 의미해요. 폐지를 줍는 자원재생활동가와 폐지로 설치미술을 제작하는 저희의 공통점을 표현한 단어이기도 하죠. 270.6km는 자원재생활동가와 저희의 동행을 계산한 거리에요. 자원재생활동가가 폐지를 주우며 걷는 거리가 1일 평균 12.3km인데요. 12.3에 참여 학생 수 22명을 곱한 수가 270.6이죠. 종이와 관련된 일이라는 공통점 아래, 다양한 방식으로 각자의 작업을 선보이며, 자원재생활동가와 저희의 아름다운 동행을 꿈꾼다는 의미가 담겨 있어요.

▲ <24K> 박초록, 48×28×60, 43×30×70, 혼합매체, 2023

Q. 러블리페이퍼는 자원재생활동가를 지원하는 사회적 기업인데요.
협업은 어떤 방식으로 진행됐나요?

이주헌 러블리페이퍼 기우진 대표님이 전시기획 단계에 참여하셔서 22명의 전시기획안을 모두 듣고 피드백을 주셨어요. 설치미술 작품을 만드는 단계에는 박스, 재생지 등 재료를 제공해 주셨죠. 저는 설치미술 작품을 제작하는 전 단계에서 자원재생활동가를 만나 인터뷰를 했는데요. 기우진 대표님이 러블리페이퍼에 저를 초대해 주셔서 자원재생활동가의 진솔한 이야기를 나누는 자리를 마련해 주셨어요.

▲ <일상의 소소한 의미심장> 이주헌, 단채널비디오, 2023

Q. 여러분이 만든 설치미술 작품이 궁금해요.

박초록 누군가가 버린 폐지 더미가 각 층에 고유한 특성이 있는 지각층으로 느껴졌어요. 지각층에는 광물도 있고, 보물도 있잖아요. 폐지를 쌓아 거대한 지각층을 만드는 자원재생활동가들이 이 사회에 꼭 필요한 광물, 보석과 같은 역할을 한다는 의미를 담아 <24K>라는 작품을 만들었어요.

권순한 자원재생활동가가 1일 평균 걷는 거리, 12.3km를 손수레를 끌고 걸어보았어요. 폐지를 줍는 행동은 자원재생활동가의 활동을 침범하는 영역이기 때문에 재생지로 큰 공을 만들어 손수레에 실고 다녔죠. 12.3km를 걷는 건 쉽지 않았어요. 아시다시피 길이 엄청 울퉁불퉁하고, 길이 나 있다고 해도 사람이 다니는 길로 손수레를 끌고 갈수 없잖아요. 안전하지 않은 길을 택할 수밖에 없는 자원재생활동가의 사정도 알게 됐죠. 길가에서 마주친 사람들의 불편한 시선도 느꼈고요. 경사가 있는 길에서는 공이 바닥으로 떨어지고, 손수레에 다시 올리는 작업을 수차례 반복했죠. 팀원들과 함께 이날의 여정을 영상으로 찍고, 소감을 담아 한 편의 영상을 만들었어요.

정세연 KBS 다큐멘터리 <GPS와 리어카>를 보고 작품에 영감을 얻었어요. 다큐멘터리에서 손수레에 GPS를 달고 이동거리를 측정하는데 이 거리가 12.3km예요. 그런데 국가 기관에서 발표한 연구 자료에는 폐지수거 노인의 1일 평균 이동거리가 13km로 기록되어 있어요. 실제 실험 수치와 공표된 평균치 사이의 차이점에 주목해 실제화되지 않은 노인 빈곤층 문제를 작품에 투영했죠. 폐지 수거 노인들의 활동지역 지도를 잘라내고, 그 위에 실제 손수레에 GPS를 달고 이동한 루트를 표시했어요. 관람객이 지도를 넘겨 보면서 노동 거리를 체감할 수 있게 관객 참여형으로 작품을 만들었는데요. 그들의 노고나 실제 상황은 다 담겨 있지 않지만 눈으로 이분들의 노고를 이해했으면 하는 바람을 담았어요.

김은비 자원재생활동가가 1일 평균 수거하는 폐지의 무게가 78.6kg이라고 해요. 그래서 작품에 78.6kg의 폐지를 사용했죠. 러블리페이퍼가 제공한 박스를 예술관 작업실까지 옮기는데 20대인 저도 이 무게가 호락호락하지 않은데 연세 지긋한 어르신이 과연 들 수 있는 무게인가. 마음이 먹먹했어요. 작품에는 박스를 아슬아슬하게 쌓아 올려 이분들이 처한 상황과 삶의 무게를 표현했죠.

이주헌 작품을 만들기 전 간단한 조사를 했는데요. 그 과정에서 ‘왜?’라는 질문이 끊임없이 이어졌어요. 자원재생활동가 라는 업은 노인빈곤을 해결하기 위해 생긴 자구책이고, 이 일은 자원활용률을 높이는 역할을 하는데 그렇다면 정부는 공공일자리 등 정책으로 이들을 채용해 정당한 임금을 지급할 수 있지 않을까. 그래서 정부기관·공공기관 관계자, 경영학·경제학·다른 대학에 계신 노동경제학 교수님께 메일을 보내 답변을 받았어요. 또 실제로 인터뷰한 자원재생활동가의 이야기와 20대 여성인 제가 혼자 폐지를 수거한 경험 등 다양한 층위의 이야기를 교차 편집해 영상으로 담았죠. 재생지로 만든 마이크 앞에 가상의 인물을 등장시키고, 공공기관 관계자의 이야기는 자막을 사용해 이야기를 풀어냈어요.

▲ <13km> 정세연, 가변설치, 혼합매체, 2023

Q. 여러분이 직접 그린 그림을 러블리페이퍼에 기부해 자원재생활동가를 돕는 일에 힘을
보탰는다고요.
다들 너무 훌륭한데요. 이번 ‘설치미술과 전시기획’ 수업으로 느낀 점은 무엇인가요?

정세연 과목명 그대로 ‘설치미술과 전시기획을 하겠구나’라는 단순한 생각으로 첫 수업을 들었는데요. 주제가 사회문제와 연결돼 있어 다들 적잖이 당황했었어요. 지금까지 예술이라는 도구로 개인적인 이야기나 관심사에 집중했지, 사회문제에 목소리를 내는 일은 다들 처음이었을 거예요. ‘나’를 향한 관심에서 ‘타인’에 대한 관심으로 시선을 이동해 다른 사람의 공감을 구하고 관점을 확대할 수 있다는 점이 의미 있었어요. 작업의 경계선을 넘는 새로운 시도였기 때문에 기억에 오래 남을 것 같아요.

이주헌 이번 전시는 유동 인구가 많은 경영관에서 열려 많은 국민*인이 <직지거리 270.6km>를 관람할 수 있었는데요. 전시를 통해 저희가 탐구한 이야기를 자연스럽게 전달할 수 있었고. 자원재생활동가에게는 위로와 힘이 되었다고 생각해요. 제가 만난 자원재생활동가는 ‘관심을 갖는 것만으로도 고맙다. 기본 급여 정도만 제대로 받았으면 좋겠다’고 말씀하셨는데요. 전시가 끝나고 보름 후, 정부가 자원재생활동가를 관리하는 체계를 마련하겠다는 뉴스를 듣게 되어 매우 기뻤던 기억이 나요. ‘설치미술과 전시기획’을 수강한 미술학부 학생과 저희 전시를 본 국민*인들도 같은 마음이었을 거라고 믿어요(웃음).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페이스북
  • 트위터

이 코너의 다른 기사

이미지
이미지
이미지
이미지
이미지
이미지
이미지
이미지
이미지
이미지
이미지
이미지
이미지
이미지
이미지
이미지
이미지
이미지
상단으로